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43

인플레이션과 디플레이션에 대하여 인플레이션과 디플레이션, 뉴스에서 자주 보이는 용어입니다. 특히, 코로나19 이후 모든 상품의 가격이 급등하면서 인플레이션이라는 단어는 더욱이 많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인플레이션과 디플레이션은 정확히 어떤 의미일까요? ■ 인플레이션이란? 인플레이션은 가격이 지속적으로 상승하고 통화 가치가 하락하는 상태를 나타냅니다. 기본적으로 인플레이션은 수요가 공급을 계속 앞지를 때 발생하며 일반적인 인플레이션 패턴은 두 가지로 나눌 수 있습니다. - 첫 번째 인플레이션은 공급에 비해 수요가 증가하는 인플레이션입니다. 자본주의 경제에서 상품 가격은 수요와 공급의 관계에 의해 결정됩니다. 수요가 많을 때, 즉 경제의 성장기에서 기업과 개인은 높아지는 소득 수준에 기인하여 소비가 많아지게 됩니다. 이렇게 사람들이 .. 2023. 1. 5.
23년 미국 주식 시장 개장 시간, 휴장일 정리 최근 주식 시장의 흐름이 좋지 않지만 이미 해외 기업에 투자하고자 하는 분들이 많이 계시고, 더 늘어날 것으로 예상됩니다. 다만 해외 시장이다 보니 거래하기 위한 시간과 날짜를 알고 있어야 합니다. 국내와 마찬가지로 미국도 공휴일에는 시장이 열리지 않는데, 다른 나라의 쉬는 날을 일일히 찾아서 확인하기 어렵습니다. 이에 23년의 미국 주식 시장이 열리는 시간(서머타임)과 휴무일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23년 미국 시장 공휴일 사실 해외 일부 국가에는 서머타임이라는 것이 존재합니다. ※ 서머타임이란 ? 여름처럼 긴 일조 시간이 나타나는 계절에, 시간을 1시간 앞당겨 시간을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위해 유럽과 미국등에서 널리 도입된 시스템입니다. 일광 시간이 1시간 늘어난 만큼 전기 대신 자연광으로 .. 2023. 1. 4.
주식 용어 정리(ROE,EV/EBITDA) 기본적인 용어 관련한 마지막 포스팅입니다. 지난 시간에 알아본 EPS, PER, BPS, PBR에 이어 ROE, EV/EBITDA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주식 용어 정리(시가총액,EPS,PER) (tistory.com) 주식 용어 정리(시가총액,EPS,PER) 코로나 이후 대규모 자금이 주식 시장에 유입되면서 많은 사람들이 주식 투자에 관심을 가지게 되었습니다. 다만 준비되지 않은 상태에서 투자를 하다보니, 반드시 알아야 하는 용어 조차 파악 process-flow.tistory.com 주식 용어 정리(BPS,PBR) (tistory.com) 주식 용어 정리(BPS,PBR) 이전 포스팅에 이어 이번에는 또 다른 지표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시가총액, EPS, PER에 대한 내용은 이전 포스.. 2023. 1. 2.
주식 용어 정리(BPS,PBR) 이전 포스팅에 이어 이번에는 또 다른 지표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시가총액, EPS, PER에 대한 내용은 이전 포스팅을 참고해주시기 바랍니다. 주식 용어 정리(시가총액,EPS,PER) (tistory.com) 주식 용어 정리(시가총액,EPS,PER) 코로나 이후 대규모 자금이 주식 시장에 유입되면서 많은 사람들이 주식 투자에 관심을 가지게 되었습니다. 다만 준비되지 않은 상태에서 투자를 하다보니, 반드시 알아야 하는 용어 조차 파악 process-flow.tistory.com ■ BPS(Bookvalue Per Share) : [순 자산가치 / 상장 주식수] Bookvalue란 말 그대로 회계 장부상(Book)에 기록된 기업의 가치(Value)입니다. 여기서 가치는 기업이 가지고 있는 순자산, .. 2022. 12. 29.
주식 용어 정리(시가총액,EPS,PER) 코로나 이후 대규모 자금이 주식 시장에 유입되면서 많은 사람들이 주식 투자에 관심을 가지게 되었습니다. 다만 준비되지 않은 상태에서 투자를 하다보니, 반드시 알아야 하는 용어 조차 파악을 제대로 하지 못하고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에 가장 기본적인 용어부터 설명드리고자 합니다.(아래에서 예시로 보여드리는 A 기업에 대한 수치는 1년 기준으로 설정하겠습니다) ■ 시가총액 : [주가 * 상장 주식수] 시가 총액은 식에서 알 수 있듯이 현재 주가와 상장 주식수의 곱으로 계산됩니다. 기업이 유상증사,무상증자,전환사채의 주식전환 또는 자사주 매입 소각등의 주식수에 변화를 주는 이벤트가 있지 않는 한, 시가총액은 주가에 의해 결정됩니다. 예] A 기업의 주가 : 10,000원, 상장 주식수 : 100,000,00.. 2022. 12. 27.
자본주의, 사회주의, 공산주의에 대하여 ■ 자본주의란 무엇인가? 자본주의란 봉건 제도 이후 18세기 영국에서 일어난 산업 혁명에 의해 확립된 경제 체제입니다. 생산 수단을 사적으로 소유한 자본가들이 자신의 노동 외에는 팔 것이 없는 노동자들로부터 노동력을 구매하고, 이를 초과하는 상품을 생산하여 이윤을 얻는 경제구조입니다. 많은 기계가 개발되어 대량 생산이 가능해졌으며 공장 관리자는 많은 근로자를 고용하고 많은 돈을 벌었습니다. 이러한 자본주의는 이익을 추구하는 시장 메커니즘에 의해 관리됩니다. 자본주의는 개인과 기업이 이윤을 추구하는 자유 경쟁 하에서 자신의 일에 대한 보수를 받아 소유하며 사회 전체의 이익이 증가하는 시스템입니다. 이러한 시스템 속에서 인기 있는 제품은 잘 팔리고 시장 경쟁은 가격을 낮출 수 있습니다. 실적이 좋은 회사에 .. 2022. 12. 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