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11 주택 청약에 대하여 주택청약이란 주택을 입양받으려는 사람이 일정한 자격을 갖추어 사겠다는 의사표시를 위해 예금에 가입하는 것으로, 주택청약통장에 가입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러한 주택청약은 주택공급에 관한 규칙에 따라 시행되는 공급 방법이자, 분양을 하는 아파트 입주자를 선정할 때 근간이 됩니다. 청약은 아파트, 오피스텔 등 다양하지만 가장 보편적인 아파트 청약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주택의 종류 청약 주택의 경우 국민 주택과 민영 주택으로 구분됩니다. 국민 주택이란 국가/지자체/LH 및 지방공사가 건설하는 주거전용면적 85 제곱 이하의 주택(단, 수도권 및 도시 지역 이외는 100 제곱 이하)이며, 민영 주택은 국민주택을 제외한 일반 건축사에서 짓는 주택을 말합니다. 주택의 종류에 따라 청약자격, 입주.. 2023. 4. 15. 주택도시기금 - 버팀목전세대출 주택도시기금은 국민주택채권, 청약저축, 융자금 회수 등으로 자금을 조성하여 국민주택 및 임대주택 건설을 위한 주택 사업자와 주택을 구입 또는 임차하고자 하는 개인수요자에게 자금을 지원하는 기금입니다. 주택도시기금 중 개인 상품에는 가장 널리 알려져 있는 버팀목전세자금, 신혼부부전용 전세자금, 디딤돌 대출부터 중소기업취업청년 전월세보증금대출, 노후고시원거주자 주거이전 대출 등 20가지에 해당하는 다양한 대출 상품이 있습니다. 오늘은 이렇게 다양한 대출 중 버팀목전세자금에 해당하는 일반 버팀목전세자금과 청년전용 버팀목전세자금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버팀목전세자금 ■ 대출 대상 - (계약) 주택임대차계약을 체결하고 임차보증금의 5% 이상을 지불한 자 - (세대주) 민법상 성년인 세대주(대출실행일로부.. 2023. 4. 15. 주택금융공사, 4월 특례보금자리론 금리 동결 23년 1월, 특례보금자리가 처음으로 시행된 지 3개월 차에 접어들었습니다. 꾸준히 관련 기사가 나오고 있는 현시점에서 오늘은 특례보금자리론 현황에 대해 정리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1. 4월 특례보금자리론 금리 동결 한국주택금융공사는 장기·고정금리·분할상환 주택담보대출인 특례보금자리론의 4월 금리를 동결한다고 30일 밝혔습니다. 이에 따라 우대형은 연 4.05%(10년)부터 4.35%(50년), 일반형은 연 4.15%(10년)부터 4.45%(50년)가 적용되며, 저소득청년, 신혼가구, 사회적 배려층 등의 우대금리를 반영할 경우 최저 3.25%(10년)부터 3.55%(50년)가 적용됩니다. 최근 시중금리가 하락하는 모습을 보이나, 미국 금융시장 등 대내외 환경에 따라 향후 자금조달시장 향방에 대한 불확실성.. 2023. 4. 8. 23년 2월 주택 통계 발표 자료 23년 1월 주택 통계 발표가 나온 지 벌써 한 달이 지났습니다. 집값 관련 기사가 많이 나오고 있는 만큼 2월 주택 통계 발표 자료를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1. 미분양 주택 23년 2월 말 기준 전국의 미분양 주택은 총 75,438호로 전월 75,359호 대비 0.1%(79호) 증가하였습니다. 1월이 22년 12월 대비 10.6%(7,211호)로 증가했던 것에 비하면 증가 폭은 줄어들어 거의 동일한 수준으로 보입니다. 과연 미분양이 피크를 찍고 내려올지는 다음 달 3월 데이터를 확인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수도권 기준으로 12,541호로 전월 12,257호 대비 2.3%(284호) 증가하였으며, 지방은 62,897호로 전월 63,102호 대비 0.3% 감소하여 서울과 지방의 차이가 나타나기 시작하는 것.. 2023. 4. 3. 부동산 PIR, 전세가율을 통한 정량적 분석 지난 시간에 부동산 거래량과 가격을 통한 정량적 분석에 이어 오늘은 PIR(Price to Income Ratio)와 전세가율을 통한 정량적 분석을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이전 내용은 아래 내용 참고 바랍니다. 부동산 거래량과 가격을 통한 정량적 분석 (tistory.com) 부동산 거래량과 가격을 통한 정량적 분석 최근 부동산 거래량이 증가하고 있다는 소식이 전해져오고 있습니다. 1월 부동산 규제 완화 이후 거래량이 증가하는 것으로 보이는데, 실제 어느 수준인지 알아보는 것과 더불어 부동산 매매의 process-flow.tistory.com ■ 서울 아파트 월별 PIR, 전세가율 분석 PIR는 Price to Income Ratio의 약자로, 주택 구매능력을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집값의 상승이나 하락세를.. 2023. 3. 22. 부동산 거래량과 가격을 통한 정량적 분석 최근 부동산 거래량이 증가하고 있다는 소식이 전해져오고 있습니다. 1월 부동산 규제 완화 이후 거래량이 증가하는 것으로 보이는데, 실제 어느 수준인지 알아보는 것과 더불어 부동산 매매의 기준이 되는 지표를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공부 과정에서 얻은 지식을 정리한 것이니 참고용으로 사용하시길 부탁드립니다. 1. 서울 아파트 월별 매매 거래량 확인 네이버에 "부동산 거래량"이라고 검색하면, 제일 먼저 "서울 부동산 정보광장" 링크가 보입니다. 해당 사이트에 들어가서 위쪽 탭에 있는 "부동산거래정보 - 부동거래현황"을 들어가면 서울 지역 아파트의 월별 부동산 거래량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2006년부터의 데이터가 있는데 1년 단위로 볼 수 있어 전체적인 흐름을 판단하고자 직접 정리해 보았습니다. 위 차트에서 .. 2023. 3. 15. 이전 1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