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

23.2월 소비자 물가 동향

by 흐름만들기 2023. 3. 6.

23.3.6(월) 기획재정부에서 23년 2월 소비자물가 동향이 보도되었습니다. 2월 소비자 물가는 전년동월비 4.8% 상승(전월비 0.3% 상승), 근원물가(농산물, 석유류 제외)는 전년동월비 4.8% 상승(전월비 0.3% 상승)하였습니다. 이는 22년 4월(4.8%) 이후 10개월 만에 첫 4%대 진입한 것으로 상승폭이 줄어들고 있는 모습입니다. 하락 반전은 아니지만 세부 사항은 어떤 것이 있는지 살펴보겠습니다.

 

1. 2월 소비자물가는 석유류 가격이 하락하고 할인행사로 인한 축산물 가격 하락 등으로 농축수산물 가격이 안정

출처 - 기획재정부

  • [농축수산물] 소,돼지고기 등 축산물 가격이 하락하면서 농축수산물 가격 안정세 지속
  • [석유류] 국제 유가 안정세가 지속되며 전년동월비 가격 하락 전환 (※ 유가 지속 확인 필요)
  • [개인서비스] 외식제외 중심으로 가격 상승세가 축소되며 개인서비스 물가 오름세 소폭 둔화(5.9→5.7%)
  • [공공서비스] 2월 일부 지자체의 택시요금 인상 등이 반영되며 전년동월비 가격 오름폭 소폭 확대(0.8→0.9%)

출처 - 기획재정부

 

2. 물가의 기조적 흐름을 보여주는 근원물가(농산물, 석유류 제외)도 개인서비스, 집세 가격상승 둔화 등 영향으로 상승폭 축소

※ 근원물가란 계절적 요인이나 일시적인 충격에 의해 영향을 크게 받는 농산물 및 석유류를 제외한 물가 상승률로 전체 458개 품목 중 관련된 항목을 제외한 401개 품목으로 구성

출처 - 기획재정부

 

3. 생활물가지수는 수요압력 완화 영향으로 개인서비스(여행,보험) 등 가격 안정 흐름이 이어지며 가격 오름폭 축소

※ 생활물가지수란 전체 458개 품목 중 구입 빈도가 높고 지출비중이 높아 가격변동을 민감하게 느끼는 144개 품목

  • 신선식품지수는 고등어,명태 등 어획량 부진으로 인한 신선어개 중심 가격 상승의 영향으로 오름세 확대

출처 - 기획재정부

 

4. 2월 물가는 위에서 언급한대로 축산물 가격 하락과 석유류 가격의 하향안정세가 더해지면서 상승폭이 축소되었고, 22년 4월 이후 첫 4% 진입 등 앞으로 특별한 외부 충격이 없다면 안정적인 흐름이 지속될 것으로 보입니다. 다만, 국제 에너지/원자재 가격 상승의 영향으로 식품/서비스 등 수요 품목의 가격 불안 요인이 아직 남아 있는 상황이기 때문에 주요 품목 가격동향을 면밀히 점검할 필요가 있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