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식

재무제표 뜯어보기 3편 - 재무에 관한 사항(feat. 에코프로비엠)

by 흐름만들기 2023. 2. 24.

오늘은 사업보고서에서 핵심 내용이 담겨있는 재무제표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요약재무정보

재무의 사전적 의미는 돈이나 재산에 관한 내용을 말합니다. 때문에 기업의 건전성을 볼 수 있는 자료로 재무제표가 이용되고 있습니다. 사업보고서에서 재무에 관한 사항에는 크게 연결재무제표와 일반 재무제표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그 차이는 종속 기업의 실적이 포함되어 있느냐 인데, 연결재무제표의 경우 포함이 되고, 그냥 재무제표는 개별(별도) 기업의 실적만 표기됩니다. 따라서 기업의 실적을 확인할 때에는 연결재무제표를 봐야 하고, 해당 기업의 순수한 실적을 판단하여 PER, EPS를 계산하기 위해서는 별도 재무제표를 확인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요약재무정보의 경우 2번에 나올 연결재무제표가 요약되어 있습니다. 앞서 정리한 것처럼 연결과 별도의 차이는 종속기업의 반영 여부이고 재무제표의 구성은 동일하기 때문에 2번에 해당하는 연결 재무제표를 통해 확인해보겠습니다.

 


 

2) 연결재무제표

재무제표에는 크게 재무상태표, 손익계산서, 현금흐름표 3가지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그중 재무상태표부터 확인해 보겠습니다.

 

① 재무상태표

재무상태표에는 자산, 부채, 자본이 나와있습니다. 자산이란 기업이 소유하고 있는 유/무형의 가치물이고, 부채란 재화나 용역의 차입을 전제로 부담한 금전상의 상환 의무, 즉 빚입니다. 이러한 자산과 부채는 1년 이내에 유동화가 가능한지에 따라 유동성인지 비유동성인지 구분이 됩니다. 마지막으로 자본은 이러한 자산에서 부채를 뺀 수치로 표현됩니다. 

■ 유동자산 : 현금및현금성자산, 매출채권(기업이 재화,용역 등을 외상으로 판매하고 그 대가로 미래에 현금을 받을 수 있는 권리), 재고자산등
■ 비유동자산 : 부동산, 토지, 건물등의 유형자산과 지적 재산권 같은 무형자산 등
■ 유동부채 : 매입채무(물건을 외상으로 매입하고 나중에 현금을 지불해야 할 의무), 단기차입금(일정한 기한 내에 원금의 상환과 이자를 지급한다는 채권,채무 계약에 따라 조달된 자금)
■ 비유동부채 : 장기차입금
■ 자본 : 자산 - 부채

■ 부채비율 : 부채/자본 = 부채/(자산-부채)

② 포괄손익계산서

손익계산서는 한 회계 기간에 기업의 모든 비용과 수익을 비교하여 손익 정도를 밝히는 계산서입니다. 여기서 기타 수익, 기타 비용, 금융수익, 금융원가 등은 영업 활동 외에 발생하는 수익입니다. 따라서 순수하게 영업활동에 의한 실적을 보기 위해 가장 중요한 것은 매출액, 매출원가, 매출총이익, 판매비와 관리비, 영업이익입니다.

■ 매출액 : 상품의 매출 또는 서비스의 제공에 대한 수입 금액
■ 매출원가 : 매출액에 대한 상품 등의 매입 원가 또는 제조 원가, ※ 매출원가 = 당기순매입액 + 기초재고자산 - 기말재고자산
- 위 식을 풀어보면 당기순매입액은 당연히 원가에 해당
- 기말재고자산이 줄어들었다면, 어찌됐든 재고가 팔렸다는 의미이기 때문에, 여기에 해당하는 부분을 매출원가로 비용 처리
- 반대로 기말재고자산이 늘었다면 생산한만큼 안 팔린 것이기 때문에 해당 부분을 유형자산으로 처리
>> 팔려야 매출 원가가 증가, 안팔리면 매출원가가 낮아짐
■ 매출총이익 : 매출액 - 매출원가
■ 판매와관리비(판관비) : 기업의 판매와 관리, 유지에서 발생하는 비용으로 급여, 광고비, 복리후생비, 임차료 등 매출원가에 속하지 않는 모든 영업비용을 포함
■ 영업이익 : 매출액 - 매출원가 - 판매와관리비 = 매출총이익 - 판매와관리비

추가로 연결재무제표는 종속 기업의 실적을 포함한 것이며 손익계산서에서 지배기업의 소유주지분에 대한 귀속분이 계산되어 있습니다. 지분율만큼 반영이 되는데 이를 고려하여 PER, EPS를 계산해야 합니다.


③ 연결 현금흐름표

 

현금흐름표에는 크게 영업활동현금흐름, 투자활동현금흐름, 재무활동현금흐름이 있습니다.

 

영업활동현금흐름은 기업이 제품의 제조, 판매 등 주요 활동을 하면서 발생하는 현금의 유출입을 말합니다. 당연히 기업 본연의 활동을 통해 돈을 잘 벌어들인다면 (+)의 현금흐름이 나타날 것이고, 반대로 매출채권이나 재고자산이 늘어나면 현금을 회수하지 못한 것이기 때문에 (-)의 현금흐름이 나타날 것입니다.

 

투자활동현금흐름은 기업이 투자 목적으로 운영하는 자산 및 영업에 사용되는 유형자산 등의 취득 및 처분과 관련한 현금의 유출입입니다. 흔히 말하는 CAPEX(Capital Expenditure)가 투자활동현금흐름에 포함이 되는데, 자산을 취득하기 위해서는 지출이 필요하기 때문에 현금흐름이 (-)가 됩니다. 투자활동현금흐름은 이러한 취득과 처분의 합을 나타냅니다.

 

재무활동현금흐름은 채권자의 경우 투자원금과 약속된 이자를 돌려받을 권리가 있고, 주주는 잉여금에 대하여 배당을 받을 권리가 있는데, 기업이 이러한 자본 분배에 대해 지불할 능력이 있는지를 알 수 있는 지표입니다. 즉, 임차인으로서 차입금을 잘 갚고, 남는 현금으로 배당을 잘한다면 지출이 되는 것이기 때문에 (-) 현금흐름이 되고, 반대로 유상증자나 전환사채등을 통해 돈을 계속 가져오는 상황이라면 (+) 현금흐름이 됩니다.

 


 

3) 연결재무제표주석

연결재무제표주석에는 연결재무제표에서 단순 숫자 총계로 나타난 데이터들에 대해 세분화하여 자세하게 구분되어 있습니다. 해당 자료에서 어디서도 찾아보기 힘든 자료들이 많이 나와있고, 통찰력을 키운다면 숫자로는 판단할 수 없는 기업의 내재 가치를 파악할 수 있습니다. 내용이 길고 방대하기 때문에 리뷰하지는 않겠지만 반드시 주석을 자세하게 보는 습관을 길러야 합니다.

 

댓글